자식이라는 저주에 갇힌 어머니
입력
수정
연극 '그의 어머니'
강간 혐의로 가택연금된 17세 소년 매튜와
형량을 낮추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엄마 브렌다
아들을 향한 사랑과 범죄자를 향한 혐오가 뒤섞여
'강간범의 엄마'라는 낙인으로 무너져가는 모습 그려
사랑, 절망, 두려움 뒤섞인 복잡한 어머니의 마음
김선영의 파격적인 열연으로 생명력 얻어
서울 중구 장충동 국립극장에서 4월 19일까지

연극 '그의 어머니'는 이런 딜레마에 빠진 한 어머니가 등장한다. 작품은 캐나다의 한 평범한 가정집에서 시작한다. 주인공 브렌다 카포위츠는 워킹맘이다. 그는 아침밥을 준비하고, 학교에 가기 싫다고 떼쓰는 8살 막내아들 제이슨을 타이르면서 출근 준비까지 하느라 정신없는 아침을 보낸다. 여느 가족과 다를 바 없는 분주한 평일 아침의 모습이다.
평화로워 보이는 이 집의 한쪽에는 불편한 존재가 맴돈다. 이 와중에 방에서 나오지 않는 첫째 아들 매튜다. 17살 고등학생 매튜는 하룻밤 사이에 세 명의 여학생을 강간한 혐의로 가택 연금된 상태다.
브렌다는 자기 아들이 이런 끔찍한 일을 저질렀다는 사실이 불편하다. 자기 자식이지만 얼굴을 마주하기도 어색하다. 브렌다는 아들과 같은 공간에 있는 시간을 최대한 피하려고 한다. 어쩔 수 없이 마주쳐도 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이 퉁명스러운 말투로 이야기하지만 눈조차 마주치지 못한다. 동시에 어머니로서 책임감을 느끼고 아들의 형량을 최대한 낮추기 위해 고군분투한다.

복잡하고 양면적인 감정에 휩싸인 어머니의 모습은 브렌다 역을 맡은 김선영의 열연으로 생명력을 얻는다. 1막 마지막 장면에서 이성의 끈을 놓고 기자들 앞에서 옷을 훌러덩 벗어 던지는 연출은 원작에는 없지만 김선영의 의지로 빚어진 장면이다. 사랑과 희망이 무너진 인물이 스스로를 파괴하는 모습을 처절하고 파격적으로 그린다. 가정을 지키고자 하는 의지, 아들을 향한 사랑과 혐오감이 뒤섞인 감정 등 복잡 다변한 엄마의 마음을 미묘하게 오가는 김선영의 연기가 관객을 홀린다.
대신 범죄자의 어머니라는 십자가를 지고 고통스러워하는 한 인간의 모습을 날것 그대로 보여준다. 그 안에 인간 본성의 이중성, 가족애, 범죄자에게서도 인간성을 찾는 휴머니즘, 얄팍하고 자극적인 가십거리를 위해 피라냐 떼처럼 달려드는 언론에 대한 비판까지 담았다. 관객 각자가 보고 생각하는 방향에 따라 전혀 다른 작품이 될 수 있는 연극이다. 공연은 오는 19일까지 서울 장충동 국립극장에서 열린다.
구교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