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요일 4시간 일하고 퇴근"…국힘, '주 4.5일제' 대선 공약 추진
입력
수정
주 4.5일 근무제 대선 공약 검토
"실질적인 워라밸 개선 효과"
최저임금제 차등적용 검토도
"중소기업 살아야 대한민국 산다"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14일 국회 본관에서 열린 비대위 회의에서 "법정 근로시간 40시간을 유지하되 유연근무제를 통해 실질적인 주 4.5일 근무제 도입 방안을 검토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유연근로제를 도입하더라도 생산성과 효율성 향상이 전제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권 비대위원장은 울산 중구청이 시범 실시하고 있는 '금요일 오후 휴무제도'를 소개했다. 그는 "월요일부터 목요일까지 1시간씩 더 일하고 금요일에 오전만 근무하는 방식"이라며 "총 근무 시간이 줄지 않기 때문에 급여에도 변동이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유연한 시간 배분을 통해 주 4.5일대의 실질적인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 개선 효과를 가져오는 현실적인 제안"이라고 덧붙였다.
더불어민주당 측이 주장하는 주 4.5일 근무제에 대해서는 '비현실적이고 포퓰리즘적'이라며 날을 세웠다. 권 비대위원장은 "더불어민주당의 주 4.5일 근무제는 근로 시간 자체를 줄이면서 임금을 그대로 유지하려는 정책"이라며 "근로 시간을 줄이면 급여도 줄어드는 것이 상식"이라고 지적했다.

일률적으로 적용 중인 최저임금제 또한 개선 대상으로 지목됐다. 업종별 기업 규모별로 최저임금 수준을 차등화해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김상훈 정책위의장은 이날 비대위 회의에서 "중소기업이 살아야 대한민국이 성장한다"며 "업계가 지향하는 정책 과제들을 검토해 대선 공약에 반영하겠다"고 했다.
안시욱 기자 siook95@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