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시장 소비 늘리자" 대형마트 쉬게 했더니…의외의 상황

"대형마트 문 닫자 온라인몰만 웃었다
전통시장은 소비 감소"

한경연 분석
"대형마트 규제, 온라인 쇼핑 전환 가속"
대형마트 의무 휴업제가 전통시장을 포함한 오프라인 시장의 동반 침체를 가속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15일 한국경제인협회 한국경제연구원이 분석한 2022년 농촌진흥청 자료에 따르면 수도권 1500가구의 일평균 전통시장 식료품 구매액은 대형마트 의무휴업일 기준 610만원으로 오히려 대형마트가 영업하는 일요일(630만원)보다 적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온라인몰은 대형마트 의무휴업일 식료품 구매액이 평균 8770만원으로 마트가 영업을 하는 일요일보다 130만원 많았고, 슈퍼마켓은 1920만원으로 110만원 많았다.

평소 대형마트를 이용하는 고객들이 의무 휴업일에는 전통시장보다 온라인몰과 슈퍼마켓을 택하는 경향이 있음을 시사한다.

유민희 한국경제인협회 연구위원은 “소비자들은 대형마트가 문을 닫더라도 온라인 구매를 이용하거나 다른 날에 미리 구매하는 것을 선택한다”며 “대형마트와 전통시장은 경쟁 관계가 아닌 보완적 유통채널의 성격을 갖는다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과거 통계와 비교하면 온라인몰 쏠림 현상은 더욱 뚜렷하다. 대형마트 의무휴업일 기준 전통시장 식료품 구매액은 2015년 1370만원에서 2022년 610만원으로 55% 감소했고, 슈퍼마켓도 3840만원에서 1920만원으로 줄었다. 반면 온라인몰 구매액은 같은 기간 180만원에서 8770만원으로 무려 49배가량 급증했다.

유 위원은 “소비의 중심축이 온라인으로 이동하고 있는데 대형마트에 대한 규제는 더 많은 소비자가 온라인 쇼핑으로 전환하도록 해 오프라인 유통시장의 위축을 가속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어 “의무휴업 정책 효과가 미미하다면 과감하게 개선하거나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며 “온라인, 대형마트, 전통시장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유통 생태계 구축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박수림 한경닷컴 기자 paksr365@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