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명여대, 다문화·이민자 학생들에…맞춤형 교육지원 앞장

숙명여대(총장 문시연)가 교육 소외계층을 위한 사회공헌 활동에 선도적으로 나서고 있다. 다문화 가정 자녀부터 이민자, 경제적 취약계층 청소년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맞춤형 교육을 제공하며 사회적 책임을 실천하는 ‘포용적 대학’ 모델을 만들고 있다는 평가다.
숙명여대 아시아여성연구원 산하 다문화통합연구센터에서 이민자들이 한국어 문법을 공부하고 있다. 센터는 2027년까지 법무부 ‘사회통합프로그램’ 거점 운영기관을 맡아 언어, 문화, 사회제도 이해 등 교육을 진행한다.  숙명여대 제공
숙명여대 아시아여성연구원 산하 다문화통합연구센터에서 이민자들이 한국어 문법을 공부하고 있다. 센터는 2027년까지 법무부 ‘사회통합프로그램’ 거점 운영기관을 맡아 언어, 문화, 사회제도 이해 등 교육을 진행한다. 숙명여대 제공
숙명여대 글로벌어학원은 서울권에 거주하는 다문화 학생들이 맞춤형 교육을 받을 수 있는 배움의 장으로 거듭나고 있다. 15일 숙명여대에 따르면 글로벌어학원은 지난 2월 서울시교육청이 주관하는 ‘서울형 한국어 예비학교’ 운영기관으로 선정됐다. 서울권 대학 중에서는 단 두 곳만 선정됐다. 서울형 한국어 예비학교는 다문화 학생이 학교생활에 안정적으로 적응하도록 돕는 위탁교육기관으로, 학생들은 이곳에서 교육받은 시간을 학력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

숙명여대는 학생들에게 2027년 2월까지 약 2년간 집중 교육을 제공할 방침이다. 수업은 15명 규모의 작은 학급별로 맞춤형으로 열리고, 학생 개개인의 배우는 속도를 고려해 진행한다. 교육은 단순한 언어 습득뿐 아니라 예술·체육 활동, 문화 체험, 진로 멘토링 등 학생들의 전인적 성장도 함께 도모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숙명여대 글로벌어학원 관계자는 “학생들이 언어 장벽을 넘어설 수 있도록 다각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했다.

외국인 유학생 등 이민자를 위한 교육과 사회 적응을 돕는 역할도 수행한다. 숙명여대 아시아여성연구원 산하 다문화통합연구센터는 최근 법무부의 ‘사회통합프로그램’ 거점 운영기관으로 다시 선정됐다. 2012년부터 이어져 온 해당 사업은 이민자가 한국 사회 구성원으로서 자립할 수 있도록 한국어, 문화, 제도 이해 등을 교육하는 프로그램이다. 이번 재선정으로 숙명여대는 오는 2027년까지 3년 더 해당 역할을 맡게 됐다.

그동안 숙명여대는 78개 정규과정을 통해 총 1156명의 교육생을 배출했다. 특히 국적·영주 등 체류 자격을 취득하려는 재한외국인, 국적 취득 후 3년 이내의 사람 등을 대상으로 한국 사회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교육 콘텐츠를 제공한다.

경제 취약계층 청소년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도 확장하고 있다. 숙명여대 음악영재교육원은 서울시와 손잡고 ‘서울예술영재 음악교육 사업’을 6년째 이어오고 있다. 경제적 사정으로 예술교육 접근이 어려운 청소년에게 교육비 전액을 지원하는 방식이다.

올해는 초등학생 중심이던 지원 대상을 중학생까지 확대한다. 선발 인원도 늘렸다. 교수진은 국내외 정상급 연주자로 구성됐다. 실기와 이론을 아우르는 수준 높은 커리큘럼을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문시연 숙명여대 총장은 “숙명여대는 사회적 포용성과 지속가능성을 실현하는 핵심 역할을 맡고 있다”며 “앞으로도 지역사회와 긴밀히 협력하며 대한민국 교육격차 해소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오유림 기자 ou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