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국종 "내 인생 망해…나처럼 되지 마라" 군의관 향해 조언
입력
수정

15일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는 '이국종 교수 군의관 강연 내용'이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게시자에 따르면 이 병원장은 충북 괴산에서 진행된 강연에서 "후배들한테 미안해서 해줄 말이 없는데 교장(학군교 교장)이 병원까지 찾아와서 해달라 하는데 나도 국방부에서 월급 받는 입장이라 수락했다"고 밝혔다고 한다.
아울러 "한평생을 외상외과에서 죽도록 일했는데 바뀌는 건 하나도 없더라. 내 인생 망했다"며 "나랑 같이 외상외과 일하던 윤한덕 교수는 과로로 죽었다. 너희는 저렇게 되지 마라"고 말했다고 전해졌다.
앞서 정부가 의과대학 정원 2000명 확대를 발표한 이후 내·외·산·소(내과, 외과,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응급의학과, 흉부외과, 신경과, 신경외과 등 소위 바이탈과를 희망하는 의대생 비율이 급감한 상황이다.
이 병원장은 의정 갈등에 대해서도 언급했다고 전해진다. 그는 "교수들 중간 착취가 맞다. 나는 복귀자랑 패싸움이라도 벌어져서 반 정도는 죽어있을 줄 알았는데 다들 착하다. 감귤(전공의로 복귀한 의사를 비하한 표현) 정도로 놀리는 거 보니 귀엽다"고 했다.
그러면서 "전공의 짜내서 벽에 통유리 바르고 에스컬레이터 만드는 대병(대형 병원)이 돈 달라고 하니까 조선 아들딸들이 수가 올리라 하면 XXX 취급하는 거 아니냐"며 "움집·텐트만 있어도 서울대병원, 세브란스면 진료 보러 올 것"이라고 발언을 전했다.
강연내용과 관련해 현장에서 들었다는 A 씨는 "일부 보도에 나온 것처럼 '조선반도는 입만 터는 문과 놈들이 해먹는 나라다'라는 말을 이 병원장님이 한 적이 없다"면서 "환자를 버리고 파업하는 건 잘못된 일이라고 말씀하셨고 복귀자들을 지지한다고도 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다수의 참석자들은 "A씨가 들은 말을 들은 또 다른 참석자가 없다. 복귀자 지지한다는 말을 한 적이 없다"고 반박해 이 병원장의 발언 진위에 관심이 쏠리는 상황이다.
수위가 다소 높은 이 병원장의 발언이 일파만파 확산하자 동료 의사들조차 "이 교수의 발언이 속 시원하기도 한데 이 교수 발언인지 잘 모르겠다", "내가 알고 있는 이국종 선생님은 저런 식의 화법을 쓰지 않는다", "양념이 좀 심하다 느껴진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이 병원장의 발언이 영상을 통해 공개된 것이 아니라 내부 강의는 참석 군의관 훈련생들의 증언으로만 알려져 논란은 당분간 확산할 전망이다. 다만 이런 발언을 해야 할 정도로 현재 전공의 및 의사들의 현실이 고단하다는 데에는 공감대가 형성되는 모양새다.

윤 센터장은 전남대 의대를 졸업한 뒤 2002년 국립중앙의료원 응급의료센터가 문을 열 때 응급의료기획팀장으로 합류했다. 또한 응급의료 전용 헬기 도입, 재난·응급의료상황실 운영 등 국내 응급의료 체계 구축에 헌신한 인물로 평가받았다.
지난 2019년 2월 4일 오후 6시쯤 국립중앙의료원 응급의료센터장 사무실에서 심정지 상태로 발견되자 이 소식을 접한 이 병원장은 "어깻죽지가 떨어져 나간 것 같다"고 비통해했다. 당시 윤 센터장은 설 연휴를 앞두고 응급의료 공백을 막기 위해 퇴근을 미루고 병원을 지키다 과로로 숨진 것으로 추정됐다.
한편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서명옥 국민의힘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23~25년 연도별 전국 의과대학별 군 휴학 인원 현황'에 따르면 2025학년도 1학기 의대생 중 군 휴학 인원은 총 2074명이다.
일반적으로 의대생은 의대를 졸업한 뒤 '의무사관 후보생'이 돼 군의관이나 공중보건의사(공보의)로 입영한다. 이렇게 현역병으로 입영하는 의대생이 늘어난다면 군의관·공보의 수급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미나 한경닷컴 기자 help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