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ESS 업계와 대미 통상리스크 긴급 점검

 이호현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정책실장. 사진=연합뉴스
이호현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정책실장. 사진=연합뉴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호현 에너지정책실장 주재로 에너지저장장치(ESS) 업계 간담회를 열어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정부의 통상정책에 따른 시장 리스크를 점검했다고 15일 밝혔다.

미국은 우리의 ESS 수출 1위 시장이다. 향후 10년간 총 770GWh(기가와트시) 규모의 ESS가 설치돼 연 25%씩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미국 ESS 시장은 신재생에너지가 확산하면서 전력공급 안정성 확보와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가 빠르게 늘면서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국내 ESS용 리튬이온 배터리의 대미 수출액은 2022년 9억7000만달러에서 지난해 21억9000만달러 규모로 증가했다. 이 기간 전기차용 배터리 수출액은 14억2000만달러에서 지난해 4억5000만달러로 둔화했다. 업계 관계자는 "ESS용 배터리가 전기차 '캐즘(수요둔화)' 위기를 극복하는 데 톡톡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배터리에는 미국 정부의 관세조치로 10%의 기본관세가 부과되고 있다. 앞으로 추가 15% 수준의 상호관세도 예정돼 수출 둔화가 불가피하다.

이에 산업부는 미국 관세 조치가 업계에 미치는 영향을 긴급 점검하고 유관기관과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업계는 정책 금융 제공 등 지원방안을 건의했으며, 정부는 KOTRA, 무역보험공사와 함께 업계를 밀착 지원하기로 했다.

이호현 에너지정책실장은 “ESS 업계에 미칠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미국 정부와 긴밀히 소통하는 한편, 전력시장에서의 차익거래(Arbitrage) 등 새로운 시장 확보를 위해 적극 지원할 것"이라며 "글로벌 ESS 시장이 계속 성장하는 만큼 우리 ESS 산업이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 하도록 국내 ESS 산업 생태계를 재정비하는‘에너지스토리지(ESS) 산업 발전전략’의 업그레이드 버전을 마련하겠다”고 언급했다.

산업부는 출력제어 빈도가 많은 제주-호남을 대상으로 500MW급 배터리저장장치(BESS) 중앙계약시장을 추가 개설할 계획임을 밝혔다.

이 행사에는 산업부 관계자들을 비롯해 LG에너지솔루션, SK온, 삼성SDI 등 배터리 3사와 스탠다드에너지, H2, 스마트그리드협회, 수출입은행, 신한자산운용, 무보, KOTRA, 한국에너지공단 등에서 20여명이 참석했다.

김대훈 기자 daep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