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 갈등에 군대 택한 의대생 1900명…공보의 대신 현역 입대"

의정 갈등 기간 중 입대한 의대생 10배 증가
공보의협 “공보의제 존속 위한 대책 필요”
사진=뉴스1
사진=뉴스1
의정 갈등이 본격화된 지난해부터 올해 2월까지 현역병이나 사회복무요원으로 입대한 의대생 수가 1900명에 육박한 것으로 드러났다.

15일 대한공중보건의사협의회(공보의협)가 병무청을 상대로 낸 정보공개 청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월부터 올해 2월 말까지 의대생 중 현역·사회복무요원 입영 인원은 총 1882명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현역 입대자는 1602명, 사회복무요원 입대자는 280명이다.

의대생은 졸업 후 전공의 수련을 시작하면 의무사관후보생으로 등록돼 공중보건의사(공보의)나 군의관으로서 국방의 의무를 다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공보의나 군의관은 복무 기간이 36개월로 현역병보다 두 배 더 길고, 근무지도 주로 오지인 탓에 의대생들 사이에서 기피 대상이 되어왔다. 특히 지난해 의정 갈등이 시작된 이후에는 공보의나 군의관 대신 현역 입대를 선택하는 의대생이 늘고 있다.

공보의협에 따르면 지난해 1년간 현역이나 사회복무요원으로 입대한 의대생은 1537명으로 의정 갈등 전인 2023년 군 휴학 의대생(162명)의 10배 수준이다.

의정 갈등 2년 차인 올해도 상황은 비슷하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서명옥 국민의힘 의원이 교육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5년 1학기 의대 재학생 중 군 휴학 인원은 총 2074명이다. 지난해 한 해 동안 군 휴학을 한 의대생이 1749명이었는데 이번 학기만으로도 이를 넘어선 것이다.

군 휴학 의대생들이 예정대로 입영하면 향후 군의관과 공보의 인력 수급에 차질이 불가피하다. 이에 공보의협은 공보의 제도의 유지를 위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며 보건복지부에 대응을 촉구했다.

박수림 한경닷컴 기자 paksr365@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