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7년부터 고3 모평 9월→8월…"성적 확인하고 수시 접수"
입력
수정
교육부, '수능 모의평가 일정 변경안' 발표
통합형 수능 예시 문항도 공개
대입전형 반영과목도 조기 안내 예정
"신속한 입시 정보로 학생·학부모 부담 완화"

교육부는 이같은 내용이 담긴 '2028학년도 하반기 수능 모의평가 일정 변경안'을 15일 발표하며 대입제도 개편에 따른 주요 변화 사항을 함께 안내했다.
교육부와 시도교육청,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2027년부터 하반기 수능 모의평가를 8월 넷째 주 또는 다섯째 주에 시행할 예정이다. 상반기 모의평가는 현행과 같이 6월에 실시한다. 수시모집 원서접수 일정도 모의평가 성적이 통지된 이후인 9월 중순 이후로 순연한다.
그간 학교 현장에서는 9월 모의평가 성적이 나오기 전에 수시 원서접수가 마감돼 학생들이 자신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제기돼 왔다. 이러한 불확실성을 이용해 입시 불안을 조장하는 사교육 마케팅이 성행한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컸다. 교육부 관계자는 "일정 조정으로 학생들이 모의평가 성적을 받아보고 수시 지원을 할 수 있게 됐다"며 "이 방안에 대해 대학들과도 협의를 마쳤다"고 말했다.
교육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는 8월 모의평가 성적이 통지되는 시점에 맞춰 '공공 대입상담' 서비스를 확대 제공할 방침이다. 사설 입시 컨설팅에 의존하지 않고도 대입 준비를 충실히 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단 취지다.

2028학년도부터는 수능 국어영역과 수학영역의 선택과목 제도가 폐지된다. 다만 문항 수와 시험 시간은 현행처럼 각각 45문항·80분, 30문항(단답형 9문항 포함)·100분으로 유지된다. 사회탐구와 과학탐구 영역에서도 선택과목이 사라진다. 대신 '통합사회'와 '통합과학'으로 출제된다. 각 영역별로 25문항을 40분 내에 풀어야 한다.
교육부와 대교협은 올해 고1부터 고교학점제가 전면 시행됨에 따라, 2028학년도 대입전형에서 각 대학 모집단위별로 반영하는 과목 정보를 예년보다 앞당겨 제공할 계획이다. 학생들의 과목 선택을 돕기 위함이다.
일반적으로 대학들은 모집단위별 반영과목을 '대입전형 시행계획'을 통해 입학연도 1년 10개월 전(2028학년도 기준 2026년 4월)에 발표해왔다. 하지만 고교학점제 시행으로 학생들의 과목 선택이 대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커진 상황을 고려해, 2028학년도 대입전형 계획을 조기에 마련한 대학들은 올해 8월부터 모집단위별 반영과목을 순차적으로 공개할 예정이다.
최은희 교육부 인재정책실장은 "2028 대입개편이 새로운 입시 부담이나 사교육 수요 증가로 이어지지 않도록 정확하고 신속한 입시 정보를 제공하겠다"며 "모의평가 일정 변경과 같이 제도 개선을 통해 학생과 학부모의 대입 준비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방안도 적극 발굴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미경 기자 capita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