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설-서울대, 초전도 기반 핵융합로 기술 개발 '맞손'

‘꿈의 에너지’ 공동 연구·사업화 협력 체계
핵융합로 및 초전도 분야 원천기술 내재화

원자력 발전의 새로운 패러다임
지속 가능한 에너지 혁신에 집중
14일 이한우 현대건설 대표(왼쪽)와 유홍림 서울대 총장(오른쪽)이 서울대 관악캠퍼스에서 ‘초전도 기반 핵융합로 기술 개발 및 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은 후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현대건설 제공
14일 이한우 현대건설 대표(왼쪽)와 유홍림 서울대 총장(오른쪽)이 서울대 관악캠퍼스에서 ‘초전도 기반 핵융합로 기술 개발 및 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은 후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현대건설 제공
현대건설이 미래 에너지원으로 주목받는 핵융합 발전 분야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기술 및 사업 역량 확보에 선제적으로 나선다.

현대건설은 14일 서울대와 ‘초전도 기반 핵융합로 기술 개발 및 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서명식은 이한우 현대건설 대표와 유홍림 서울대 총장을 비롯한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서울대학교 관악캠퍼스에서 진행됐다.

핵융합 발전은 수소 등의 연료를 플라스마 상태에서 섭씨 1억도 이상의 초고온으로 가열해 원자핵을 결합해 에너지를 생산하는 기술이다. 원료가 풍부하고 폭발 위험성이 낮아 안전한 데다 배출가스와 방사성 폐기물 발생량이 적어 ‘꿈의 에너지’로 불린다.

핵융합 과정의 핵심은 초고온의 플라스마를 오랜 시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다. 초전도자석의 강력한 자기장이 초고온의 플라스마를 가두는 역할을 하는데, 초전도자석을 만들기 위해서는 특정 조건에서 전기 저항이 ‘0(Zero)’이 되는 특수 물질인 초전도체가 필수다. 차세대 에너지로서 막대한 잠재력을 지닌 만큼 고도의 기술적 과제 해결을 위해 전 세계 주요 기관과 기업들이 대규모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연구개발에 매진 중이다.

서울대는 무절연 고온초전도 등 핵융합 시스템을 소형화할 수 있는 원천기술을 개발하고 영국 원자력청(UKAEA)이 주관하는 세계 최초의 상업용 핵융합 발전 프로젝트 STEP에 참여하는 등 밀도 있는 연구를 통해 핵융합 기술 발전에 앞장서고 있다.

이번 협약을 계기로 현대건설과 서울대는 국내외 초전도 기반 핵융합로와 핵융합용 초전도에 대한 △공동 연구 및 기술 개발 이전 △사업 개발 및 참여 △인력지원 및 상호협의체 운영 등에 긴밀히 협력할 계획이다. 현대건설은 대형원전, SMR을 포함한 다양한 플랜트 사업 경험을 바탕으로 핵융합 발전소 건설 및 사업화에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서울대는 핵융합과 초전도 분야의 핵심 기술을 연구한다.

이 대표는 “대한민국 산·학계 대표 기관의 협력이 미래 에너지 전환의 새로운 동력을 견인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 총장은 “이번 협약은 국내 초전도 연구 역사에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며 “세계를 선도하는 기술력을 확보하고, 국가 경쟁력 강화에 이바지할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심은지 기자 summi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