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비 500만원 어디서 구하나'…트럼프 폭탄에 '부글부글'

미국 성인 65% "관세로 경제 악화"
전자제품 등 가격 인상 우려 불만↑
가구당 약 3800달러 지출 증가 전망
아이폰16 시리즈. 사진=애플 제공
아이폰16 시리즈. 사진=애플 제공
스마트폰·PC 등 전자제품을 겨냥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일부 혼선을 빚으면서 미국 내에서 역풍을 맞고 있다. 관세가 본격 적용되면 전자제품 가격 인상 등의 여파로 가계지출이 연간 500만원 이상 증가할 것이란 전망이 제기되는 등 경제에 악영향을 줄 것이란 여론이 더 높게 나타났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3일(이하 현지시간) 반도체 관세율을 다음 주 중 발표한다면서 "일부 유연성은 있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업계는 애플에 우호적 조치가 취해질 가능성에 무게를 실었다.

하지만 당초 전자제품 관세가 면제되는 것처럼 메시지가 나왔다가 이내 '일시적 조치'라면서 별도 관세율이 적용된다는 언급이 나왔다. 번복하는 듯한 형국이 되면서 미국 내 소비자들뿐 아니라 관련 업계도 혼란스럽다는 반응이다.

현지에선 관세 부과에 부정적 여론이 감지된다.

CBS가 지난 8~11일 미국인 2410명을 조사한 결과 관세 조치가 단기적으로 미국 경제 상황을 악화시킨다는 응답이 65%에 달했다. 장기적으로도 악화시킨다는 응답도 42%로 가장 많았다. 장·단기적으로 영향이 없을 것이라거나 파장이 확실하지 않다는 답변은 각각 27%, 23%에 그쳤다.

상호관세 여파로 가격 인상을 예상하는 응답도 단기·장기 각각 75%, 48%로 가장 많았다. 영향이 없다는 응답은 20~22%, 가격이 인하된다는 답은 5~36% 수준이었다.

관세가 부과될 경우 어떤 형태로든 소비자에게 부담이 돌아올 것이란 관측도 나왔다. 시장조사업체 IDC의 라이언 레이스 부사장은 "트럼프 관세로 수입품에 부과된 전액이 소비자에게 전가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예일대 예산연구소는 새 관세로 미국 내 가구당 평균 약 3800달러(약 540만원) 지출 증가가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관세 압박을 통해 애플 아이폰 등 주요 제품 생산기지를 미국으로 이전하도록 유도하겠단 구상이다. 하지만 이는 현실성이 떨어진다며 비판을 받고 있다. 앞서 관세 부과와 미국 내 생산 등을 가정할 경우 아이폰 가격은 대당 300만~500만원대에 이르게 될 것이란 관측이 나올 정도였다.

김대영 한경닷컴 기자 kd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