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변천사 한눈에…창동에 '사진 전문 공립미술관'

내달 '서울시립사진미술관' 개관
경관·예술인 사진 2만여점 전시
특별전·시민 참여형 교육 등 운영
국내 첫 사진 전문 공립 미술관이 다음달 서울 도봉구 창동에서 문을 연다. 1929년 한국인 최초로 개인사진전을 연 정해창의 사진부터 비디오아티스트 백남준, 발레리나 강수진 등 명사들의 사진을 포함해 2만여 점의 작품을 차례로 선보인다.

서울시는 다음달 29일 서울시립사진미술관(사진)을 개관한다고 15일 밝혔다. 2015년 서울 동북권 거점 미술관 건립 사업을 추진한 지 10년 만이다. 서울시립사진미술관은 연면적 7048㎡, 지하 2층~지상 4층 규모로 서울시립미술관의 분관으로 운영된다. 오스트리아 건축가인 믈라덴 야드리치와 윤근주 건축가가 협업해 사진 ‘픽셀’을 형상화한 독창적인 외관으로 설계했다. 사진 인화지가 한 장 한 장 미끄러지는 듯한 역동적인 느낌의 디자인이 눈길을 끈다. 사진이 ‘빛으로 그린 그림’이라는 점에 착안해 공간 구성에서도 빛과 색을 강조했다는 설명이다.

서울시는 사진·필름 등 1만3000여 점과 국내 유수 사진작가 26명의 작품 7000점 이상을 수집했다. 1950~1980년대를 중심으로 당시 시대상을 볼 수 있는 풍경·인물 사진 등이 주를 이룬다. 한국 기록사진의 개척자로 알려진 성두경 작가가 촬영한 1950~1960년대 서울 경관 등 유품 일체를 기증받았다. 세계적인 비디오 아티스트 백남준, 발레리나 강수진, 피아니스트 백건우 등 거장들을 촬영한 이은주 사진가의 작품도 포함됐다.

개관과 더불어 특별전도 열린다. 특별전에서는 ‘광(光)적인 시선’이라는 대주제로 사진이라는 매체의 본질과 예술성을 세 개의 전시를 통해 집중 조명한다. 먼저 ‘스토리지 스토리’ 전시는 사진미술관 건립에 얽힌 작가들의 기억과 해석을 담아낸다. 다음으로 ‘광채: 시작의 순간들’에서는 한국 예술사진의 태동기부터 주요 작가의 대표작을 소개한다. 마지막 특별전은 오는 12월 공개할 예정이다.

관람은 화요일~일요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8시까지 할 수 있다. 매주 월요일 휴관한다. 모든 전시는 무료 개방한다. 최은주 서울시립미술관장은 “서울시립사진미술관은 사진을 예술적 매체로 접근해 작가와 시민이 함께 소통하고 연구하는 플랫폼으로서 사진의 과거와 미래를 연결하고 한국 사진예술 연구에 기여하는 등 공공 미술관의 지평을 넓힐 것”이라고 말했다.

오유림 기자 ou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