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경기도서 29건 '땅꺼짐'…안전 대책 필요
입력
수정

16일 경기도에 따르면 지난해 도내에서 발생한 지하시설물 관련 지반침하 사고는 모두 29건으로 집계됐다. 유사 사고는 △2018년 79건 △2019년 53건 △2020년 47건 △2021년 35건 △2022년 36건 △2023년 26건으로 줄어들다 작년에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지난해 6월 24일 오전 11시 30분께 평택시 이충동 한 도로에서는 상수도관 파열로 발생한 폭 3m, 깊이 1m 규모의 구덩이에 차량 한 대가 빠지는 사고가 났다. 앞서 같은 해 3월 4일 남양주시 화도읍에서도 매설된 하수도관이 손상되면서 길이 2m, 폭 1.5m, 깊이 2m 크기의 포트홀이 생겼다.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 발생한 305건의 지반침하 사고를 시기별로 보면 8월 16.8%, 7월 15.5%, 6월 14.9% 등 우기 때인 6~8월(47.2%) 집중됐다. 원인별로 보면 상하수도관 손상에 따른 지반침하가 130건(42.6%)으로 가장 많았다. △다짐(되메우기) 불량 68건(22.3%) △굴착공사 부실 45건(14.8%) △기타 매설 공사 부실 13건(4.3%) 등 순이었다.
지반 침하 사고가 주로 상하수도관과 연관된 경우가 많다 보니 전국 최장 규모의 수도관이 매설된 경기도에서 다른 지역보다 사고 발생 가능성이 큰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환경부 상하수도 통계를 보면 2023년 말 기준 전국에 매설된 상수도관은 24만6126㎞로, 이 중 4만950㎞(16.6%)가 경기도에 묻혀 있다. 이어 △경북 2만9580㎞ △전남 2만2835㎞ △경남 2만2136㎞ △충남 2만1252㎞ 등이다. 서울은 1만3350㎞다.
하수도관도 전국 17만2495㎞의 19.7%에 이르는 3만3914㎞가 경기도에 매설돼 있다. 이어 △경북 1만7486㎞ △경남 1만6479㎞ △전남 1만2534㎞ △전북 1만1036㎞ 등이다. 서울은 1만865㎞이다.
상하수도관 전체로 보면 전국 41만8621㎞ 가운데 7만4864㎞(17.9%)가 경기도 지하에 매설된 것이다. 이 중 매설된 지 20년 넘어 누수 사고 위험이 큰 노후관도 상수도관 6368㎞(전체의 15.6%), 하수도관 396㎞(전체의 1.2%) 등 총 6764㎞(9.0%)에 달한다.
상하수도관이 많이 매설된 것뿐 아니라 대규모 택지개발, 전철 신설, 기존 철도 지하화 등 지하공간 공사가 집중된 경기지역 특성을 고려할 때 지하 안전 확보 대책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이에 경기도는 2020년부터 토목·지질·구조 등 지하 안전 전문가들로 구성한 '경기지하안전지킴이'를 운영 중이다. 아울러 시군 지자체 담당자를 대상으로 연간 2회 지하 안전에 대해 교육도 하고 있다. 올해는 42명의 전문가가 지킴이로 활동 중이다.
이송렬 한경닷컴 기자 yisr020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