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일수록 "결혼·출산 꼭 해야"…배우자 고를 땐 '이것' 본다
입력
수정

16일 하나은행 하나금융연구소가 부자의 금융행태를 분석한 '2025 대한민국 웰스 리포트'에 따르면 금융자산 10억원 이상 부자들은 '결혼은 꼭, 반드시 해야 하는 것이다'란 의견에 36%가 동의한다고 답했다. 이는 대중부유층(금융자산 1억~10억원 미만) 30.3%, 일반대중 27.4%를 웃도는 수준이었다. 동의하지 않는다고 답한 비중은 27.6%로, 대중부유층(33.5%), 일반대중(37.8%) 대비 낮았다. 나머지는 '중립' 의견을 제시했다.
'결혼하면 자녀를 꼭 낳아야 한다'는 생각에도 부자의 47%가 동의했다. 대중부유층은 40%, 일반대중은 36%에 그쳤다.
부자들이 배우자를 선택할 때 가장 많이 본다고 답한 건 성격(60.9%)이었다. 이어 이혼 이력, 화목함 등을 고려한 가족 분위기(56.5%), 집안 경제력·외모(47.8%), 가치관(43%), 건강·나이(35%)순이었다.
일반대중 역시 성격(74.%)을 가장 많이 본다고 답했는데, 부자들의 응답률보다 높았다. 가족 분위기(50%)의 경우 부자들의 응답률보다는 낮았다. 일반대중은 집안 경제력(19%) 부자보다 덜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량·버릇·습관(38%), 취미나 혼인 이력(33%) 등을 더 많이 고려한다는 점에서 부자와 차이를 보였다. 배우자의 소득을 본다고 답한 비중은 27.6%로, 부자보다 다소 높았다.
사랑과 신뢰 외 특별히 고려하는 조건이 없다고 답한 부자들은 4%에 그쳤다. 일반대중은 14%가 사랑과 신뢰면 충분하다고 했다. 부자는 26%가 부모의 고향을 고려한다고 응답했지만 일반대중은 2%만의 그렇다고 답했다.
부자의 절반 이상은 친구나 지인 또는 부모님의 소개로 지금의 배우자를 만났다고 응답했다. 친구나 지인의 소개팅이 44%, 부모님의 소개가 13%로, 부자 10명 중 6명은 '소개'를 통해 만났다. 학교, 직장, 모임 등에서 '자연스럽게 만났다'고 답한 비중은 35%였다. 결혼정보회사와 같은 전문가(기관)를 통해서 만났다는 응답은 없었다. 일반대중은 생활권에서 자연스럽게 만났다는 비중이 43%로 가장 많았다.
결혼 후 일상생활의 만족도 변화에서는 부자의 60.9%가 일산 전반의 만족도가 좋아졌다고 답했다. 일반대중은 48.3%에 그쳤다. 부자들은 정서적 만족(78.3%), 배우자와의 관계(69.6%), 신체적 건강(65.2%), 경제적 여건(60.9%), 직장·사회활동(56.5%) 등에서 결혼 이후 좋아졌거나 매우 좋아졌다고 답했다.
반면 일반대중은 결혼 후 정서적 만족도가 높아졌다고 답한 비중은 58.6%였고, 경제적 여건(41.4%), 신체적 건강(34.5%), 직장·사회활동(34.5%) 등 만족 수준이 부자보다 낮았다.
조미현 기자 mwis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