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후 낙폭 키운 코스피…美中 갈등·ASML 수주 부진 여파
입력
수정

아울러 장중 네덜란드 반도체 장비업체인 ASML의 수주 실적이 발표됐는데, 관세 정책 불확실성으로 시장 기대에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반도체주(株) 투자심리가 더 위축됐다.
1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지수는 전날 대비 29.98포인트(1.21%) 내린 2447.43에 거래를 마쳤다. 지수는 전장 대비 4.63포인트(0.19%) 내린 2472.78로 출발한 뒤 약보합세를 이어가다가 오후 들어서 가파르게 낙폭을 키웠다. 한때 2442.72까지 밀렸다.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4959억원, 17억원 매도 우위다. 개인만 4070억원 매수 우위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각각 3.36%, 3.65% 하락했다. 현대차도 2.83% 하락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KB금융은 2% 넘게 올랐다.
주요 반도체주가 급락했다. 삼성전자(-3.18%), SK하이닉스(-3.54%), 한미반도체(-4.44%), DB하이텍(-3.23%) 등이다. 미국 정부가 엔비디아에 중국 등 일부 국가에 인공지능(AI) 반도체인 H20 칩 수출 시 허가를 받도록 요구했다는 소식이 전해진 영향이다. 앞서 미국 정규장 폐장 후 시간외거래에서 엔비디아도 6% 넘게 급락했다.
장중 ASML이 시장 기대에 못 미치는 1분기 수주 실적을 발표한 점도 반도체주 낙폭을 키웠다. 블룸버그·로이터통신에 따르면 ASML은 1분기 수주액이 39억4000만유로(약 6조3000억원)를 기록했다. 이는 블룸버그가 집계한 시장 전망치 평균 48억2000만유로(약 7조8000억원)에 못 미치는 수치다. 크리스토프 푸케 CEO는 "최근의 관세 발표가 거시적 환경에 불확실성을 키우고 있다"고 우려했다.
한편 이날 코스닥지수도 장중 낙폭을 키워, 전날 대비 12.81포인트(1.8%) 내린 699.11에 거래를 종료했다.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357억원, 895억원 매도 우위였다. 개인만 2324억원 매수 우위다.
코스닥시장에서 대장주 알테오젠은 3.55% 하락했다. 에코프로비엠과 에코프로도 각각 2%, 3%대 밀렸다. 리가켐바이오, 코오롱티슈진의 낙폭은 4%대였다. 시총 상위주에서는 클래시스(2.12%)와 에스엠(1.04%) 등이 상승세를 기록했다.
정책 수혜 기대감으로 포바이포가 상한가를 기록했다.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6·3 대선 경선 출마 선언 이후 첫 공식 일정으로 AI 반도체 팹리스 사인 퓨리오사AI에 방문했다. 포바이포는 퓨리오사AI의 협력업체로 알려져 있다. 일찌감치 퓨리오사AI에 투자한 이력이 알려진 DSC인베스트먼트도 7.27% 상승했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오후 3시30분 기준 원·달러 환율은 1.2원 오른 1426.7원을 기록했다.
신민경 한경닷컴 기자 radio@hankyung.com